맨위로가기

베를린 리히텐베르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리히텐베르크역은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기차역으로, 1867년 개통 이후 동베를린의 주요 역으로 기능했다. 동독 시기 장거리 노선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독일 재통일 이후 베를린 중앙역 개통으로 위상이 축소되었으나, S-반 및 지역 열차의 중요한 거점으로 남아있다. 1930년 바우하우스 양식의 역 건물이 건설되었으며, 2007년 영화 촬영지로 활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지역간 열차, S-반, 시내버스 및 트램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이 운행되며, 인접 정차역으로는 동역, 중앙역, 프랑크푸르터 알레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1년 개업한 철도역 - 베를린 슈토르코어 슈트라세역
    베를린 슈토르코어 슈트라세역은 1881년 개통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피해 복구, 동독 시기, 독일 통일 이후 재개발을 거쳐 현재 S41, S42, S8, S85 노선이 지나고 버스 환승이 가능하다.
  • 1881년 개업한 철도역 - 체퍼니크역
    체퍼니크역은 1881년 프로이센 국영철도에 의해 설치된 독일 철도역으로, 복복선화 및 전철화 공사를 거쳐 1924년부터 전동차 운행을 시작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베를린 S반 노선과 바르님군 버스 노선이 연결된다.
  • 리히텐베르크구의 건축물 - 프리드리히스펠데 중앙 묘지
    프리드리히스펠데 중앙 묘지는 1881년 베를린에 설립되어 사회민주당, 사회주의, 공산주의 운동 지도자들의 안식처가 되었으며, 특히 동독 시절에는 동독 지도자들의 묘역 및 사회주의 운동 관련 기념 시설이 조성되었다.
  • 리히텐베르크구의 건축물 - 마그달레넨슈트라세역
    마그달레넨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5호선에 있는 역으로, 1920년대 말 건설 계획에 포함되어 단순함을 중점으로 설계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피해를 입지 않고 벽화 설치, 개보수 공사, 엘리베이터 설치 등을 거쳤다.
  • 베를린 지하철 5호선 - 베를린 브란덴부르거 토어역
    베를린 브란덴부르거 토어역은 베를린의 환승역으로, 과거 운터 덴 린덴역으로 개통되었으나 장벽 건설로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통일 후 재개방 및 개명되었으며, 주변에 주요 명소가 있다.
  • 베를린 지하철 5호선 - 베를린 불레탈역
    베를린 불레탈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철도역으로, S반 5호선과 U반 5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며, 불레강에서 이름을 따왔고, 1989년에 개통되어 U반에서 가장 긴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베를린 리히텐베르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입구 홀
입구 홀
주소Weitlingstraße 22
위치베를린, 리히텐베르크구
국가독일
노선동방 철도
브리첸선
베를린 프랑크푸르터 알레-베를린 루멜스부르크 철도
승강장4
선로 수8
운영사DB Station&Service
연결



108 240 256 296 396 N5 N50 N94
구역: 베를린 B/5656
개업일1881년
웹사이트www.bahnhof.de
지도 유형베를린
지도 설명베를린 내 위치
인접 역
좌측 역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우측 역베를린 호엔쇤하우젠
좌측 행선지쇠네펠트
우측 행선지에베르스발데
좌측 역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우측 역베를린 호엔쇤하우젠
좌측 행선지쇠네펠트
우측 행선지오라니엔부르크
우측 역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중간 비고문화 열차
좌측 역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우측 역베를린 호엔쇤하우젠
좌측 역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우측 역아렌스펠데
좌측 역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우측 역베를린 말스도르프
우측 역에르크너
좌측 역뇔트너플라츠
우측 역프리드리히스펠데 오스트
좌측 역뇔트너플라츠
우측 역프리드리히스펠데 오스트
좌측 역뇔트너플라츠
우측 역프리드리히스펠데 오스트
좌측 역마그달레넨슈트라세
우측 역프리드리히스펠데
노선 정보 (독일어 위키백과)
역명Bahnhof Berlin-Lichtenberg
코드열차선: BLO
S반: BLI
U5: Li
소재지베를린 리히텐베르크구
개업일1881년
U5:
관할열차선, S반: 도이체 반
U반: BVG
승강장열차선: 3면 6선+통과선 2선
S반: 1면 2선
U5: 1면 2선
영업 거리베를린 동역 기점 4.4 km
전역뇔트너플라츠
전역 거리1.0 km
후역프리드리히스펠데 오스트
후역 거리1.7 km
영업 거리베를린 동역 기점 4.4 km
전역오스트크로이츠
전역 거리2.3 km
후역말스도르프
후역 거리7.1 km
영업 거리구 브리첸역 기점 4.4 km
후역아렌스펠데
후역 거리9.3 km
영업 거리1.9 km
전역리히텐베르크 B1 분기점
전역 거리1.3 km
영업 거리알렉산더플라츠 기점 5.9 km
전역마그달레넨슈트라세
전역 거리0.7 km
후역프리드리히스펠데
후역 거리1.2 km

2. 역사

리히텐베르크역의 역사는 1870년대 프로이센 동방철도 개통 이후 조차장이 건설되면서 시작되었다. 1881년부터 여객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리히텐베르크-프리드리히스펠데'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20세기 들어 대(大) 베를린 법 시행 이후 베를린에 편입되었고, 1928년에는 S반이, 1930년에는 알프레트 그레난더가 설계한 U반 역이 개통되어 교통의 요지로 발전했다. 1935년부터 '리히텐베르크역'이라는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공습 대피소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베를린 전투 막바지에 잠시 운영이 중단되었다가 소련 점령 하에 빠르게 운행을 재개했다.

전후 동독 시절, 도이체 라이히스반은 리히텐베르크역을 동베를린의 중앙역으로 기능하도록 점진적으로 확장했다. 베를린 순환선베를린 외곽순환선과의 직접 연결을 통해 교통 허브로서의 중요성이 커졌으며, 1952년에는 교외 열차를 위한 추가 승강장이 건설되었다. 이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여객 터널은 U반 선로 위에 지어졌는데, 천장 높이가 2.25m로 매우 낮게 설계된 특징이 있다.[2] 1970년대에는 대대적인 선로 시스템 개량 공사와 함께 리히텐베르크 다리(Lichtenberger Brücke)가 건설되었고, 1982년에는 새로운 역사 건물이 문을 열었다.

독일 재통일 이후, 특히 2006년 베를린 중앙역베를린 남북 장거리선이 개통되면서 리히텐베르크역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했다. 과거 이 역에 정차했던 바르샤바, 모스크바 등 동유럽 방면 국제 열차 대부분이 베를린 중앙역으로 이전했다. 현재는 독일 국내 및 일부 국제 침대 열차와 지역 열차가 주로 운행하며, 역 시설은 꾸준히 현대화되고 있다.

한편, 리히텐베르크역은 2007년 개봉한 영화 《본 얼티메이텀》의 오프닝 장면에 등장하는데, 영화 속에서는 모스크바의 기차역으로 설정되어 촬영되었다.

2. 1. 초기 건설 및 확장 (1867년 ~ 1945년)

1867년 프로이센 동방철도가 개통되어 베를린에서 슈트라우스베르크를 거쳐 퀴스트린까지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1870년대에 현재의 리히텐베르크역 부지에 베를린 순환선의 조차장이 건설되었다. 이 조차장은 1881년부터 여객 영업을 시작하며 '리히텐베르크(Lichtenberg)'역으로 문을 열었다. 하지만 역의 위치가 프리드리히스펠데에 더 가까웠기 때문에, 1년 뒤인 1882년에는 '리히텐베르크-프리드리히스펠데(Lichtenberg-Friedrichsfelde)'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초기 장거리 열차는 베를린 구 동역을 종착역으로 사용했으나, 1882년 2월 7일 베를린 도심선이 개통된 이후에는 슐레지엔역(현재의 베를린 동역)으로 운행 경로가 변경되었다.

1898년에는 브리첸선이 개통되어 이 역을 지나게 되었고, 브리첸선 열차를 위한 별도의 승강장이 마련되었다. 1901년에는 도심선의 장거리선과 근교선이 분리되면서 장거리 열차는 VnK선으로 우회하게 되었고, 리히텐베르크-프리드리히스펠데역은 주로 도심선 근교 열차와 화물 열차를 처리하고 조차장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1903년에는 브리첸선의 베를린 쪽 종착역이 기존의 베를린 브리첸역에서 슐레지엔역으로 연장되었다.

1920년 대베를린 법 시행으로 리히텐베르크 지역이 베를린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1928년 11월 6일, 역에 처음으로 전철화된 S반 통근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며, 다음 해인 1929년 1월에는 증기 기관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1930년 12월 21일에는 건축가 알프레트 그레난더가 신 객관주의 양식으로 설계한 지하철역이 개통되었다. 1935년부터 역은 현재의 이름인 '리히텐베르크역'으로 불리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역 시설은 공습 대피소로 활용되기도 했다. 베를린 전투가 격화되던 1945년 4월 23일에는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으나, 전쟁이 끝난 후 소련 점령 하에서 약 한 달 만인 5월에 운행이 재개되었다.

2. 2. 동독 시기 (1945년 ~ 1990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이 분단되면서 베를린의 철도 교통망 역시 단절되고 재편되었다. 이에 따라 독일국영철도는 리히텐베르크역을 동베를린의 주요 장거리 열차역으로 확장하는 계획을 추진했다. 1950년대 말부터는 급행열차인 D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리히텐베르크역은 베를린 외곽순환선, 비스도르프 분기점(Biesdorfer Kreuz), 베를린 순환선 사이에 위치하여 여러 방면으로 향하는 열차를 회차 없이 운행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가졌다. 또한, 충분한 처리 용량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동베를린의 가장 중요한 장거리 열차역으로 기능했다. 1976년부터 운행된 동독의 도시 간 특급열차인 슈테테엑스프레스(Städteexpress)는 리히텐베르크역에서 출발하여 동독의 구별 중심 도시로 직접 연결되었다.

역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철도 시설도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1952년에는 베를린 지하철 E선(현재의 U5 노선) 환승 통로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교외 열차용 승강장이 건설되었다.[6] 이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여객 터널은 U반 선로 위에 건설되었는데, 천장 높이가 2.25m에 불과할 정도로 낮았다.[2] 1973년과 1974년 사이에는 기존의 낡은 대합실 건물이 철거되었다.[6] 1976년부터 1980년까지는 역 위를 지나는 리히텐베르크교(Lichtenberger Brücke)의 재건축 공사와 함께 지상역 시설의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세 번째 장거리 열차 승강장이 추가되었다. 공사 기간 동안 S반 열차는 임시 승강장에 정차했으며,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약간 서쪽으로 이전된 새로운 승강장을 사용하게 되었다. 새로운 역사 건물은 1978년에 착공하여 1982년 12월 15일에 문을 열었다.[6] 한편, 과거에 운영되었던 조차장 시설은 폐지되고 여객 열차를 위한 유치선으로 기능이 변경되었다.

1984년 9월 30일에는 역을 통과하는 열차 노선에 대한 전철화 작업이 완료되어 전기 기관차 운행이 가능해졌다.

리히텐베르크역 여객 터널. 1952년 건설 당시 천장 높이가 로 낮게 지어졌다.

2. 3. 독일 재통일 이후 (1990년 ~ 현재)

지하철 환승 통로, 2010년


리히텐베르크 다리에서 바라본 철로


1990년대에는 역 북동쪽에 위치한 S반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의 입출고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S반 승강장을 하나 더 설치하여 2면 3선식으로 개조하려는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2006년 4월 28일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가 문을 닫으면서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 기지 자체는 2010년에 다시 문을 열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리히텐베르크역의 장거리 열차 정차역으로서의 중요성은 점차 줄어들었다. 열차가 서쪽으로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게 되면서 동쪽에 치우친 역의 위치가 약점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베를린 도심의 철도 시설이 완전히 복구되기 전까지는 임시로 그 기능이 유지되었다. 1993년 5월 23일 시간표 개정부터는 뮌헨, 슈투트가르트, 프랑크푸르트에서 출발하는 ICE 6호선 열차가 리히텐베르크역에 정차했다. 당시 베를린 도심 철도 노선이 전철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열차는 교외의 미헨도르프(Michendorf)역에 종착했고, 해당 역에서 베를린 동물원역까지 셔틀 열차가 운행했다. 전철화가 완료된 1993년 7월 4일부터는 ICE 열차가 베를린 동물원역까지 직접 운행하기 시작했다.

1998년 5월 베를린 도심선의 열차선이 다시 개통되면서 리히텐베르크역의 기능은 더욱 축소되었다. 2006년 5월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프랑크푸르트에서 출발하는 일부 ICE 열차가 운행했으나, 개통 이후 대부분의 열차가 남북 장거리선 터널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리히텐베르크역은 주로 야간 열차만 정차하는 역이 되었고, 일부 지역 열차(RE) 노선도 더 이상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과거 칼리닌그라드, 바르샤바, 키이우, 민스크, 모스크바시베리아(옴스크, 노보시비르스크, 카자흐스탄 등)로 향하던 국제 열차들도 2006년 베를린 중앙역이 완공된 후로는 중앙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현재는 독일 각지에서 출발하는 침대 열차와 바르샤바 및 크라쿠프에서 오는 일부 열차가 이 역에서 종착한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역 시설의 현대화는 꾸준히 진행되었다. 2010년에는 독일 연방정부의 예산 지원으로 S반 승강장과 U반 환승 통로를 연결하는 새로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15/16번 승강장의 엘리베이터 설치 역시 2010년에 계획되었다.[7] 또한, 리히텐베르크역은 베를린 S반의 주요 20개 역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8] 2019년 11월부터는 S반 운영을 위한 전자식 신호소가 가동을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프리드리히스펠데 오스트역은 리히텐베르크역의 제어를 받는 피제어역으로 변경되었다.[9]

한편, 2007년 1월과 2월에는 리히텐베르크역과 인근 리히텐베르크교 일대에서 영화 《본 얼티메이텀》의 촬영이 진행되었다. 영화의 오프닝 장면에서 리히텐베르크역은 모스크바의 기차역으로 등장한다.

역 건물은 리히텐베르크 구역의 남동쪽 경계에 있으며, 인접한 룸멜스부르크 지역의 Weitlingstraße|바이틀링슈트라세deu에서 주로 접근할 수 있다. 역 북쪽으로는 연방도로 1/5 고속도로의 일부인 Frankfurter Allee|프랑크푸르터 알레deu가 8차선 Lichtenberger Brücke|리히텐베르크 다리deu를 통해 철로 위를 지나간다.

3. 역 건물

1910년부터 1912년까지 역 위를 지나는 Lichtenberger Brücke|리히텐베르크교de의 차선이 확장되면서, 당시 독립시였던 리히텐베르크에서는 역 건물 건축 공모전을 개최했다. 공모전 당선작은 작은 다각형 형태의 역사였다.

1970년대 초, 자동차 보급 증가로 리히텐베르크교가 다시 한번 확장되면서 역사 재건축이 다시 진행되었다. 새 역사는 2층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지어졌으며, 역 부지 남서쪽에 위치한다. 현재 역사는 1982년 2월부터 영업을 시작했다.[5]

1990년대 도이체 반은 역 전면 개보수 공사를 진행했다. 처음에는 대합실에 안내실이 설치되었다가, 2009년에는 건물 지하로 이전했다가, 2016년에는 완전히 폐쇄되었다.

4. 도시 철도 (U반)

베를린 리히텐베르크역 지하에는 U5 노선이 운행한다. 이 역은 1930년 12월 21일, 당시 E선 연장과 함께 개통되었으며, 초기 역명은 리히텐베르크(중앙묘지)(Lichtenberg(Zentralfriedhof)de)였다.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신즉물주의 양식으로 설계하였고, 역의 주된 색상은 노란색이다.

1950년대에는 중간층이 건설되면서 승강장 높이가 2.8m로 조정되었으며, 이러한 구조 변경의 흔적은 승강장에서 중간층을 통과하는 기둥 형태로 남아있다. 통일 이후인 2004년에는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가 이루어져 노반 구조물, 궤도, 역사 시설 등이 개선되었고, 영업 최고 속도가 70 km/h로 향상되었다. 이때 승강장 외벽은 에나멜 코팅 패널로 교체되었고, 승강장 위치도 동쪽으로 30m 이전되었다.[10][11] 2013년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성이 높아졌다.[12]

4. 1. 초기 개통 및 전쟁 피해 (1930년 ~ 1945년)

리히텐베르크역 구 역명판


1930년 12월 21일, 당시 베를린 지하철 E선의 알렉산더플라츠-프리드리히스펠데 구간 연장과 함께 문을 열었다. 개통 당시 역명은 '리히텐베르크(중앙묘지)'(Lichtenberg(Zentralfriedhof)deu)였다. 역사는 유명 건축가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으며, 간결하고 기능적인 신즉물주의 양식으로 지어졌다. 역의 주된 색상은 노란색으로 지정되었다. 막달레넨슈트라세역과 비슷하게 승강장에는 두 줄의 기둥이 세워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1935년에는 역명이 현재와 같은 '리히텐베르크역'(Bahnhof Lichtenbergdeu)으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인 1940년에는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역 내부에 방공호가 설치되었다. 다행히 베를린 폭격 중에도 역사는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전쟁 막바지인 1945년 5월 2일, 란트베어 운하가 폭파되었을 때에도 침수 피해를 피할 수 있었다.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45년 5월 24일부터는 파괴가 거의 없었던 프랑크푸르터 알레-리히텐베르크-프리드리히스펠데 구간에서 단선으로 운행이 재개되었으며, 같은 해 6월부터는 전 구간 운행이 정상화되었다.

4. 2. 동독 및 통일 이후 (1945년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인 1945년 5월 24일부터 거의 파괴되지 않은 프랑크푸르터 알레-리히텐베르크-프리드리히스펠데 구간의 단선 운행이 복구되었고, 같은 해 6월부터는 전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

동독 시기에는 리히텐베르크역(지상역)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지하철역의 기능도 함께 중요해졌다. 이 시기에는 앞서 언급된 중간층 건설 외에는 큰 변경 사항이 없었다.

통일 이후, 동독 시기에 상대적으로 관리가 미흡했던 U5 노선의 알렉산더플라츠-프리드리히스펠데 구간 지하역들에 대한 개보수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4년 6월부터 9월까지 프랑크푸르터 알레-티어파르크 구간에서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이 구간의 영업 최고 속도는 70 km/h로 향상되었다. 공사 과정에서는 노반 구조물과 1930년대에 설치된 오래된 궤도가 교체되었고, 역사 전체에 대한 개보수도 이루어졌다. 역 승강장 외벽은 기존 타일 대신 에나멜 코팅 패널로 교체되었는데,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던 원래의 색상 컨셉을 고려하여 노란색 배경에 라임색 줄무늬가 있는 패널이 사용되었다. 또한 승강장은 동쪽으로 30m 이전되었고, 중간층과 승강장 사이의 천장 일부가 개방되었다. 다만 이때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지 않았다.[10][11] 엘리베이터는 2013년 중반에 설치되었으며, 승강장과 중간층, 그리고 중간층과 지상 대합실을 연결한다.[12]

5. 운행 노선

베를린 리히텐베르크역은 독일의 주요 교통 거점 중 하나로,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한다. 장거리 열차, 지역간 열차(RE/RB), S반 및 U반 노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와 노면전차 등 시내 교통과의 연계도 편리하다.[3] 각 노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장거리 열차

동독 시기에는 많은 장거리 열차가 리히텐베르크역에 정차했으나, 독일 통일 이후 그 수가 점차 줄어들었다. 특히 1998년 베를린 도심선 전 구간이 재개통되고, 2006년 5월 베를린 중앙역이 문을 열면서 대부분의 장거리 노선이 중앙역으로 이전되었다. 베를린-뮌헨 CNL 야간열차가 폐지된 후, 한동안 파리-베를린-모스크바 간 열차(주 1회 운행)만 정차하기도 했다.

과거에는 칼리닌그라드, 바르샤바, 키이우, 민스크, 모스크바시베리아(옴스크, 노보시비르스크, 카자흐스탄 등)로 향하는 국제 열차가 리히텐베르크역을 이용했으나, 베를린 중앙역 완공 이후 해당 노선들은 중앙역에 정차하고 있다. 다만, 독일 각지에서 출발하는 침대 열차와 바르샤바 및 크라쿠프에서 오는 일부 열차는 여전히 리히텐베르크역을 종착역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2016년 12월 14일부터는 민간 철도 사업자인 로코모어(Locomore)가 베를린-슈투트가르트 간 장거리 열차 운행을 시작했으나, 2017년 5월 17일 파산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13] 이후 2017년 8월 24일, 레오 익스프레스(LEO Express)와 플릭스부스(Flixbus)가 협력하여 목요일부터 월요일까지 매일 해당 노선 운행을 재개했다. 2018년 4월에는 플릭스트레인(Flixtrain)이 출범했으며, 같은 해 6월 21일부터는 매일 2편성으로 운행 횟수를 늘렸다.[14] 그러나 2019년 12월 15일부터 플릭스트레인 노선 역시 베를린 중앙역 착발로 변경되었다.

5. 2. 지역간 열차 (RE/RB)

2010년대부터 리히텐베르크역에서 출발하는 지역간 열차는 니더바르님 철도퀴스트린/코스트신나트오드롱, 템플린, 베르노이헨 방면으로, DB 레기오 노르트오스트가 젠프텐베르크, 에베르스발데 방면으로 운행했다. 대부분의 지역간 열차는 1시간 배차 간격으로 운행하며, 여름철에는 라인스베르크 방면으로 하루 1편성 열차가 추가로 운행했다. 2016년 초부터는 폴란드의 프셰보지 레기오날네(Przewozy Regionalne)와 공동으로 베를린에서 출발하여 고주프비엘코폴스키, 크시즈비엘코폴스키(Krzyż Wielkopolski), 지엘로나구라 방면으로 가는 열차(RB26/RB91)를 하루 1편성 운행했다.

주말에는 DB 레기오 노르트오스트와 폴란드의 콜레예 돌노실롱스키에(Koleje Dolnośląskie)가 공동으로 베를린 리히텐베르크역과 브로츠와프 중앙역 간 직통 열차인 문화열차(Kulturzug)를 운행한다.[15][16]

이 역에는 다음과 같은 열차 노선이 운행한다.[3]

노선경로운행 간격
RB 12템플린 – 뢰벤베르크 – 오라니엔부르크베를린-리히텐베르크베를린 동역60분
RB 24에버스발데 – 비젠탈 – 베르나우베를린-리히텐베르크베를린 동역 – 쇠네펠트
RB 25베르노이헨 – 블룸베르크 – 아렌스펠데 – 베를린-리히텐베르크 – 베를린 동역
RB 26베를린-리히텐베르크 – 베를린-말스도르프 – 뮌헤베르크 – 코스트진
RB 32오라니엔부르크베를린-리히텐베르크베를린 동역 – 쇠네펠트
RB 54베를린-리히텐베르크오라니엔부르크 – 라인스베르크1회 운행
IRE
문화 열차
베를린-리히텐베르크베를린 동역 – 코트부스 – 브로츠와프 그워프니토+일요일 1회 운행
TES베를린-리히텐베르크 – 에르크너 – 방슐로이세 테슬라 쥐트1회 운행


5. 3. S반 및 시내 교통

역 북쪽에는 베를린 버스 256번 및 베를린 노면전차 21, 37번이 정차한다. 역 남쪽에는 베를린 버스 108, 240, 296번이 정차한다. N5, N50, N94번 야간 버스는 리히텐베르크교에 정차한다.

다음은 리히텐베르크역을 지나는 베를린 S반 및 베를린 지하철 노선과 인접역 정보이다.

노선방면이전역다음역
베를린 S반S5 (슈트라우스베르크 노르트 방면)뇔드너플라츠프리드리히스펠데 오스트
S7 (아렌스펠데 방면)뇔드너플라츠프리드리히스펠데 오스트
S75 (바르텐베르크 방면)뇔드너플라츠프리드리히스펠데 오스트
베를린 지하철U5 (회노 방면)마그달레넨슈트라세프리드리히스펠데



이 역은 다음과 같은 지역 열차 노선이 운행한다.[3]

노선경로운행 간격
RB 12템플린 – 뢰벤베르크 – 오라니엔부르크베를린-리히텐베르크베를린 동역60분
RB 24-N에버스발데 – 비젠탈 – 베르나우베를린-리히텐베르크베를린 동역 – 쇠네펠트
RB 25베르노이헨 – 블룸베르크 – 아렌스펠데 – 베를린-리히텐베르크 – 베를린 동역
RB 26베를린-리히텐베르크 – 베를린-말스도르프 – 뮌헤베르크 – 코스트진
RB 32-N오라니엔부르크베를린-리히텐베르크베를린 동역 – 쇠네펠트
RB 54베를린-리히텐베르크오라니엔부르크 – 라인스베르크1회 운행
IRE
문화 열차
베를린-리히텐베르크베를린 동역 – 코트부스 – 브로츠와프 그워프니토+일요일 1회 운행
TES베를린-리히텐베르크 – 에르크너 – 방슐로이세 테슬라 쥐트1회 운행


참조

[1]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ww.swp-pots[...]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7-01-01
[2] 서적 Berlins U-Bahnhöfe be.bra Verlag 1996
[3] 웹사이트 Timetables for Berlin-Lichtenberg station http://kursbuch.bahn[...]
[4] 웹인용 Lebendiger Kiez und Architekturgeschichte http://www.berlin.de[...] 2013-12-02
[5] 뉴스 Schlechte Zeiten, gute Zeiten http://www.berliner-[...] Berliner Zeitung 2003-03-04
[6] 서적 Berlins S-Bahnhöfe / Ein dreiviertel Jahrhundert be.bra verlag 1998
[7] 웹인용 Neuer Aufzug für Bahnhof Lichtenberg http://www.bahnhof.d[...] 2012-04-23
[8] 웹인용 Drucksache 17/15669 http://pardok.parlam[...] 2015-07-11
[9] 간행물 Sonderdruck zur La S-Bahn Berlin - Bereich S-Bahn Berlin, Inbetriebnahme ESTW-A Bln Biesdorfer Kreuz S-Bahn DB Netz AG 2019-11-10
[10] 문서 Schriftliche Anfrage des Grünen-Abgeordneten Michael Cramer bzgl. des Aufzugseinbaus, Prioritätenliste im Anhang http://pardok.parlam[...] 2003-12-01
[11] 뉴스 Großbaustellen im Untergrund. http://www.morgenpos[...] Berliner Morgenpost 2007-11-25
[12] 뉴스 U5-Lichtenberg – zweiter Aufzug in Betrieb, Ausgangssperrung beendet http://www.bvg.de/in[...] 2013-07-05
[13] 웹인용 Locomore GmbH & Co. KG hat Insolvenz angemeldet https://locomore.com[...] 2019-04-07
[14] 웹사이트 Information über den Weiterbetrieb von Locomore durch LEO Express, https://www.flixbus.[...] 2017-11-02
[15] 웹인용 Kulturzug – Fahrplan https://www.dbregio-[...] 2018-08-27
[16] 뉴스 Von Berlin nach Breslau: Der Kulturzug rollt mindestens noch bis ins nächste Jahr http://www.berliner-[...] 2016-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